단기합격전략
시험분석
[9급][국가직] 2025년 9급 국가직 필기 합격선 분석
2025.07.14
<br />
지난 2024년까지 국가직 9급 공채시험의 필기 합격선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.<br />
특히, 2022년부터 직렬별 전문과목이 필수화되고 원점수가 합불에 반영되면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.<br />
그러나 2025년에는 국어와 영어의 출제기조 변화에도 불구하고 필기시험 합격선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. <br />
<br />
행정직군의 경우, 2023년 82.5점에서 2024년 81.7점으로 하락했다가, 2025년에는 88.1점을 기록하며 합격선이 상승했다.<br />
기술직군은 2023년과 2024년에 79점대를 유지하다가 2025년에는 86.9점으로 크게 상승했다. <br />
<img alt="" height="609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a35ceee59b660c6a26a74694455d0071.png" width="746" /><br />
<br />
<br />
<br />
2025년 필기 합격선 상승에는 공통과목의 난이도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. <br />
<br />
우선 국어는 출제기조 변화에도 불구하고 난이도가 평이했다는 점이다.<br />
실제로 2025년 시험에 응시한 공단기 회원을 대상으로 국어/영어 출제기조 변화에 따른 체감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,<br />
조사대상의 절반 이상인 57.2%가 국어는 '쉬웠다' 또는 '매우 쉬웠다'고 응답하여 전반적으로 평이하게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.<br />
국어에서 높은 점수를 확보한 수험생들이 전체 평균 점수를 끌어올리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. <br />
<br />
또 하나의 출제기조 변화 과목인 영어는 '보통이었다'는 응답이 50.4%로 가장 높았으며,<br />
'어려웠다' 또는 '매우 어려웠다'는 비율도 30.5%를 기록하여 국어에 비해 체감 난이도가 높았음을 보여준다.<br />
이는 영어 과목 역시 직무형으로 변화하면서 독해 및 추론 영역의 비중이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.<br />
그럼에도 불구하고, '보통'이라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상당수 수험생들이 변화된 난이도에 효과적으로 대비했음을 의미한다.<br />
즉, 어려운 문항으로 인해 변별력은 확보되었으나, 기본 실력을 갖춘 수험생들이 충분히 득점할 수 있는 수준이었고,<br />
이는 전체 합격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판단된다.<br />
<br />
한국사 과목은 전반적으로 평이하게 출제되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.<br />
대부분의 기출문제집을 충실히 학습하고 사료분석에 대한 대비가 어느 정도 되어있었다면 충분히 고득점을 할 수 있는 시험이었다는 것이 중론이다.<br />
<img alt="" height="278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e1430be3689258cfdafbd97477b8ca1a.png" width="746" /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8px;"><strong>2025년 9급 국가직 직렬별 필기 합격선 </strong></span><br />
<br />
2025년 국가직 필기 합격선을 직렬별로 살펴보면,<br />
<br />
▲행정직군에서는 교육행정이 97점으로 올해도가장 높은 합격선을 기록했다.<br />
이는 교육행정직에 대한 높은 선호도가 여전함은 반영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.<br />
다음으로 검찰이 93점으로 뒤를 이었으며, 채용인원이 가장 많은 일반행정은 전체 평균 90.3점을 기록했다.<br />
특히, 근무처와 지역구분을 통해 단위모집을 실시하는 일반행정 직렬 중에서는 일반행정(중앙행정기관) 부산지역이 94점으로<br />
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장 높은 합격선을 보였다.<br />
<br />
▲기술직군에서 합격선이 가장 높은 직렬은 시설조경으로 95점을 기록했으며, 이어 전산개발이 93점을 기록했다.<br />
2025년에 국가직에서 신규로 채용을 실시한 일반환경의 합격선은 86점이었다.<br />
<img alt="" height="1087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5cd2c37a74ceae329980d2428a501427.png" width="746" /><br />
<br />
<br />
<br />
전년대비 직렬별 합격선 상승폭을 살펴보면,<br />
<br />
▲행정직군의 경우 전체 평균 필기 합격선이 작년보다 6.4점 상승한 88.1점을 기록한 가운데,<br />
교육행정직이 작년보다 4점 상승한 97점으로 가장 높은 합격선을 차지했다.<br />
특히 교정(남), 세무, 통계, 청도경찰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이상의 합격선 상승폭을 보였으며,<br />
합격선 상승폭이 가장 큰 직렬은 교정(남)으로 작년보다 17점 상승해 80점을 기록했다.<br />
필기합격인원 비율 측면에서는 철도경찰 150.0%, 마약수사 143.8%, 직업상담 140.0%, 교정(남) 140.3%, 교정(여) 140.2% 등으로<br />
140%를 상회하는 수치를 기록했다. <br />
<br />
▲기술직군의 필기 합격선도 전반적으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며, 전체 평균 필기 합격선은 86.9점으로 작년보다 7.2점 상승했다.<br />
여러 직렬 중에서도 특히 방송통신(전송기술)은 전년 대비 무려 18점 상승한 81점을 기록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고,<br />
전산직(데이터) 역시 10점 상승한 91점을 기록하는 등 합격선 상승이 두드러졌다.<br />
필기합격인원 비율 측면에서는 화공직이 172.7%로 채용인원 11명 대비 19명이 필기 합격인원으로 가장 높은 배수를 보였고,<br />
전산직(데이터) 154.5%, 시설조경 150.0%, 일반토목 145.6%, 건축 144.0% 등<br />
대부분의 직렬이 1.4배수 내외 인원이 필기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.<br />
<br />
<img alt="" height="721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d0386435d6c1bc18bb1a70e6bb0cbdc2.png" width="749" /><br />
<img alt="" height="865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d6df09ce5053a70978c538edfa4415f7.png" width="749" /><br />
<img alt="" height="667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7ef81d7efb1ccdd59704e22f7b291229.png" width="749" /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a href="https://gong.conects.com/exam_info/employment_info" target="_parent"><strong><span style="color:#000066;">▶ 연도별 채용인원 및 경쟁률/합격선 상세 확인</span></strong></a><br />
<br />